여러군데에 이력서를 넣고, 합격률을 확인하는건 대부분 의미가 없습니다.
흔히 개발자적인 생각에서 이력서를 고쳐가며, 이전 이력서는 합격률이 8%, 변경 이후 이력서는 합격률이 15%...와 같은 형태로 체크를 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게 너무나도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가장 큰 오류는 '회사의 성격', '채용 담당자'가 모두 다르다는데 있습니다.
어느 회사는 내 이력서에서 내 성실한 태도를 마음에 들어할 수도 있고,
어느 회사는 내 이력서에서 협업 능력을 마음에 들어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회사는 내 이력서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죠.
말하자면, 이력서와 회사 간의 합격률은 매번 다른 변수에서 실행되는 테스트 케이스입니다.
이런 테스트 케이스가 유효할리 없겠죠?
그렇다면 어떤 상황에 이런 방법이 유효할까요?
A: 자신의 성과나, 실력이 엄청나서 채용 담당자가 '이 사람이라면 뭐든지 할 수 있을꺼야'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면 괜찮고,
B: 내가 특정 도메인 위주의 역량이고, 지원한 곳도 같은 도메인이라면 유의미 할 수는 있습니다.
A의 경우 "자신의 이력서"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이 정도의 성과, 실력이라면 합격률이 이 정도는 된다.' 라는 판단이 가능하고,
B의 경우 "특정 도메인"에 대한 명확한 타겟이 있으며, 그에 대한 이력서이기 때문에 A와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되는 이력서는 회사에서 바라는 역량이 아닌, 타겟도 불명확한 이력서입니다.
단순히 어디든 취업/이직 하고싶다는 목표만 있는 경우죠.
정말로 회사에 취업하고 싶다면, 그 회사가 원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에 집중하는게 좋습니다.
이력서의 모든 내용은 그 회사 만을 위해서 재구성 되어야 합니다.
이렇게도 생각해봅시다.
'공통 이력서'에 합격을 주는 회사가,
'회사'에 대한 내용이 적은데도 뽑아주는 회사가,
정말 좋은 회사일까요?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
'생각 정리 >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앞으로는 '바이브 코딩'이 핵심 역량이 될 것 같다. (0) | 2025.06.16 |
---|---|
나의 사이드 프로젝트가 완성되지 못하는 이유 (0) | 2025.02.14 |
개발을 할 때는 아무것도 믿지 않는다. (0) | 2025.02.11 |
프로그램 설계, 이게 정답입니다. (0) | 2025.02.02 |
개발부하와 업무부하는 비슷하다.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