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는 거 있으면 편하게 물어보세요."
팀장님은 편하게 질문하라는 듯이 이야기 해주시지만, 뭘 물어봐야할지, 어디까지 물어봐도 될지를 모르겠는 상황.
나는 그저 막막하고, 질문의 수준이 너무 낮은건 아닌지 질문 하나하나가 걱정만 하는 중인데, 옆자리 동기 놈은 벌써 일을 마무리해가는 듯 합니다. 불안감과 조급함으로 인해 자신감도 바닥을 치게 되었구요.
이런 경험, 한번 쯤은 있지 않으신가요?
마치 안개 속을 걷는 것처럼 막막하고, 나만 뒤처질까 불안하신가요?
괜찮습니다. 이건 내가 무능해서가 아닌 팀장의 잘못이고, 이 글을 읽고 난 뒤에는 뭘 물어봐야할지 아시게 될테니까요!
당신은 지금 '시야 10%'로 슈퍼 마리오를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이 막막함은 마치 아래 슈퍼 마리오 게임을 하는데, 마리오 캐릭터 주변 10%만 보이는 상태와 같습니다.

보이는 것이라곤 발밑의 블록과 이미 먹은 코인 뿐이죠. 어디로 가야하는지, 이 다음은 뭐가 있을지, 어디에 숨겨진 길이 있는지 전혀 알 수 없습니다.
이 위치를 제외하고는 화면이 더이상 움직이지 않는다고 생각해보세요. 게임을 클리어하려면 수십, 수백 번의 실패를 겪어야만 할 겁니다.
우리가 회사에서 느끼는 막막함도 이와 같습니다. 우리는 지금 당장 처리해야 할 '티켓'이나 '업무의 조각'만 보고 있을 뿐, 이 일이 왜 시작되었고, 궁극적으로 어디를 향해 가는지 알지 못하는 상태인 것이죠.
단순한 질문보다 '목표'와 '배경'을 먼저 물어보세요
우리는 종종 단순한 질문(How)에만 매몰되기 쉽습니다. 하지만 동료보다 느리고, 일이 모호하게 느껴지는 근본적인 이유는 업무 숙련도 차이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진짜 문제는 '목표'와 '배경'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게 없는 상태로 팀장에게 질문을 해봐야, 결국 앞의 한칸, 그 다음 앞의 한칸만을 질문할 수 밖에 없어요.
안개를 걷어내고 전체 맵을 보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 1. 목표(Goal)에 대한 질문: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 "제가 지금 만드는 이 작업의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요?"
- "이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혹은 비즈니스)는 어떤 가치를 얻게 되나요?"
- "이번 작업에서 반드시 달성해야 할 핵심 성공 지표(KPI)가 있을까요?"
- 2. 배경(Background)에 대한 질문: "우리는 왜 이 길로 가는가?"
- "이 작업(혹은 프로젝트)이 기획된 배경이나 히스토리를 알 수 있을까요?"
- "과거에는 어떤 문제가 있었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작업이 시작된 건가요?"
- "혹시 이전에 비슷한 시도가 있었는데, 실패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꼭 이런 디테일한 질문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현재보다 조금만 더 명확해지더라도, 보여지는 맵이 훨씬 많아질꺼니까요.
요즘 IT에 해당 글을 더 상세하게 이야기 해두었습니다.
해당 글로 이동하여 글 전문을 읽어보세요!
'생각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말로 비판적인 사고를 하고 계신가요? (0) | 2025.08.29 |
|---|---|
| 내 이력서와 면접이 산으로 가는 이유 (0) | 2025.08.25 |
| 실패보다 최악인 것. (0) | 2025.08.19 |
| 자존감을 높여야, 성장이 빨라집니다. (0) | 2025.08.14 |
| 생각에 따라 기회의 범위는 넓어진다. (1)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