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정리 52

자존감을 높여야, 성장이 빨라집니다.

저는 멘토링도 익명으로 진행합니다. 흔히 멘토의 배경만 보고 '저 사람 말이 맞을꺼야' 라는 생각을 하는 분들이 꽤나 많기 때문에, 그런 '편한 사고'를 막기 위해, 제가 적는 내용을 의심하고, 직접 생각하게끔 하기 위해 그렇게 진행합니다.그러다보니, 제 멘토링은 일반적인 멘토링보다 시간이 오래걸릴 수 밖에 없습니다. 멘티의 경험담을 듣고, 어떤 부분이 좋은지/나쁜지를 고민하고, 왜 제가 그렇게 생각하는지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데, 이 과정에서 '멘티가 이해할 때까지' 설명해야하기 때문이죠.그런데 이 과정에서, 간혹 유난히 시간이 많이 걸리는 케이스들이 있습니다. 이미 마음에 철벽을 많이 쳐버리신 분들이에요.'하지만 다른 사람은 이렇게 생각할꺼야' 라는 자기 비판을 가지고 있어서, 제가 이야기하는 내용이 ..

생각 정리 2025.08.14

생각에 따라 기회의 범위는 넓어진다.

이런 생각을 해보자. 어제까지는 막노동을 하던 사람이, 오늘 갑자기 기막힌 사업을 구상해서 성공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아마 대부분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여길 것이다.왜 그럴까?단지 그 사람이 막노동을 하는 사람이라서가 아니다. 우리는 생략된 배경까지도 생각하여 판단한다. 막노동을 하는 사람은 먹고살기 힘들 것이고, 하루하루 일하는게 삶일테니까.물론, 100% 모든 사람이 그런 것은 아니다. 그럼 그들간의 차이는 어디에서 발생하는걸까? 우물 안 개구리이러한 상황은 분명 막노동을 하는 사람만의 이야기가 아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맡은 '역할'의 관점을 잘 벗어나지 못한다. 마치 우물 안 개구리처럼, 자신이 보고있는 하늘이 전부라 믿는 것처럼. 그 역할이 주는 안정감과 익숙함에 안주하면서, 다른 세상이..

생각 정리 2025.07.15

일단 문제를 만드는게 중요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떤 일을 진행할 때, 무슨 일이 벌어질지부터 걱정합니다.그러나, 말도 안되는 것 같지만 현업에서는 문제를 일단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물론 여기서 '문제를 만든다'는 것은 단순히 오류나 버그를 일부러 일으키는 것을 이야기 하는게 아니라,정확히는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 하나에 집중하는 것이죠.그리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선정되면, 이후에 나타나는 다른 문제들은 그저 발생하는대로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면 됩니다.'분석 마비'가 발생하는 순간자주 있을만한 예시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새로운 기술 스택도 익힐 겸,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려던 경험은 다들 한 번쯤 있으실겁니다.제 경우에는 처음에는 '간단한 기능 하나만 구현해보자'라는 생각으..

생각 정리 2025.07.08

책을 요약한 유튜브는 독서를 대체할 수 있을까?

출퇴근길 지하철에서, 점심시간의 짧은 휴식 시간에 많은 사람들이 습관처럼 유튜브를 켭니다.수많은 콘텐츠를 보다가, 오늘도 성장을 위해 책을 요약해주는 채널이나, 성장을 위한 동기부여 영상 등을 보는 분들이 있으실겁니다.어려운 책의 핵심도 쏙쏙 뽑아서 이야기해주니, 시간도 아끼고, 성장은 했고, 정말 효율적인 방법처럼 느껴지실껍니다. 하지만, 이런 생각을 해본적 있으신가요?"이렇게 영상을 본 것이, 정말 독서를 한 것과 같을까?"책을 읽어본 적이 있나요?책은 정말 많은 장르가 있습니다.에세이, 시집, 소설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글을 표현하죠.그리고 책을 읽을 때 우리의 뇌는 가만히 있지 않습니다. '이 인물은 어떻게 생겼을까?', '소설 속 배경은 어떤 느낌일까?', '작가가 이 글로 말하고 싶은 의도는..

생각 정리 2025.07.07

앞으로는 '바이브 코딩'이 핵심 역량이 될 것 같다.

아직은 '바이브 코딩은 완성되지 않았다'라는 말들을 하지만, 저는 이미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직접 활용해본 결과, 앞으로의 프로덕트 팀의 구조는 이렇게 변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글을 한번 적어봅니다.현재의 바이브 코딩의 장점은 "빠른 생산성"이지만, 그에 대한 문제점으로는 "믿을 수 없는 안정성"에 있습니다. AI가 생성하는 결과물이 우리의 기대를 벗어나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오류를 포함하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문제는 단순히 더 좋은 AI를 기다릴 것이 아니라, 이에 맞춰 조직의 구조를 새롭게 변화시켜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생산성과 안정성의 딜레마AI는 우리에게 명확한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제시했습니다.기회는 바로 '압도적인 생산성'입니다.아이디어 구상부터 실제 코드 생성까지의 ..

도파민이 성장을 멈춘다.

멘토링을 하다 보니, 조금만 생각하면 나오는 답에 대해 아무 대답을 못하는 멘티가 종종 있었다.생각을 안하는게 아니라 못한다에 가깝다고 느껴졌는데, 주변인들과 멘티 가운데 비슷한 그룹을 모아보니, 도파민이 원인인 듯 해보였다.도파민은 생각을 앗아간다.책은 '생각하는 법'을 알려준다.우리는 책을 읽을 때, 글을 단순히 눈으로만 보는게 아니다.소설을 볼 때는 그 상황을 상상하거나, 어려운 글을 읽을 때는 문맥을 추론하고, 다음 내용을 예측하려 하기도 한다.이러한 과정들 자체가 '생각'을 하는 연습이 된다.반면, SNS나 쇼츠는 다르다.SNS나 쇼츠와 같은 컨텐츠는 짧고 강렬한 자극을 준다.웃기고, 멋있고, 자극적인 영상이 짧은 순간에 휙휙 바뀌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나의 생각은 점점 사라져간다.단순한 재미..

생각 정리 2025.03.31

하고 싶은 사람이 결국 잘하게 된다.

회사에서 일을 하다 보면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주어진 업무만 처리하는 사람, 업무 방식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려는 사람, 팀 분위기를 밝게 이끌어가는 사람, 개인 목표를 중요시하는 사람, 돈만 벌고 시간을 떼우고 싶어 하는 사람 등,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업무에 성실히 임하려고 노력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진정으로 자신이 하는 일을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들이 두드러진 성과를 내는 경우가 많다. 물론 좋아하는 일을 찾지 못한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작은 변화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좋아하는 일이 성과를 결정하는 이유좋아하는 일을 할 때 사람들은 더욱 깊이 몰입한다. 몰입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다양한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

생각 정리 2025.03.23

문제해결과 성장: 어쩌면 내가 소년만화의 주인공?

요즘은 온라인에서 다른 사람들의 화려한 이력들을 보면서, 내가 물경력이 아닐까? 라는 생각에 잠기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나 자신감이 낮은 분들이라면 더더욱 그렇죠.하지만 처음부터 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 모든 사람들은 매일 다양한 문제를 마주하며 조금씩 성장하는데요. 우리도 마찬가지로, 느끼지 못했을 뿐 매 순간 성장하고 있었던거죠.소통의 어려움을 극복한 ‘통찰력’예전의 저는 늘 사람들 앞에서 긴장하고 수줍음이 많았습니다. 낯선 사람과 대화하는 건 정말 어렵고 어색했죠. 만약 이 수줍음을 극복하지 못했다면, 저는 결국 타인과의 소통 자체를 거부하며 점점 더 고립되었을지 모릅니다.하지만 저는 이렇게 살다가는 아무것도 못하겠다는 생각을 하고서는 이런 성격을 고치기 위해서 노력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사람들의..

생각 정리 2025.03.11

목표는 이루어지지 않아도 된다.

예전에 "나는 목표가 없다"(https://softychoco.tistory.com/21)라는 글을 적었던 적이 있다.아무래도 목표에 맞게 살아갈테니 목표를 잘 정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는데,그러다보니 목표를 정하는 것이 오히려 부담스럽게 느껴졌었다.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생각이 조금씩 바뀌었다.목표가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가치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목표의 변화는 자연스러운 것세상이 빠르게 바뀌고, 상황이 변하면서 과거에 세웠던 목표는 더 이상 의미가 없을 수 있다.내가 이전 글에서 이야기 했었던 "해외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 공부"는 AI가 발전함에 따라 필요 없어질 수도 있고, 위치에 영향 받지 않는 일자리나 수익 구조는 그때가 되면 당연한 일이 되어있을 수도 있다.그렇다면 목표를 세우..

생각 정리 2025.02.27

예의 없는 사람은, 인정받기 어렵다.

회사에서 자신의 업무만 잘하면 승진하거나 인정받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건 잘못된 생각입니다.  누군가는 자기 역할을 여기까지라고 생각하며 일을 멈추고, 누군가는 자신의 업무가 아니니 신경 쓰지 않는 태도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회사는 개인이 아닌 팀으로서 문제를 해결하는 조직입니다. 결국, 함께 일하는 태도와 예의가 더 큰 성과를 만들어냅니다. 팀원 간의 예의직장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합니다.누군가는 열심히 노력하며 매일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모두가 성실하게 일하는 것은 아닙니다.때로는 ‘월급루팡’이라며 시간을 보내는 사람이나 업무 시간에 쇼핑몰을 들락거리는 팀원을 보게 되죠.열심히 일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이런 태도를 보면 허탈해질 수밖에 없습니다.결국 성실했던 직원이 이직하거나, 혹은 비슷한 태..

생각 정리 2025.02.19